자폐증, AUTISM, ASD, 발달장애
"신경다양성: 다름은 결코 틀림이 아니다"
로슬리
2025. 4. 8. 15:50
728x90
🎡 신경다양성 운동이란?
“당신의 뇌가 나와 다르다고 해서, 그게 잘못된 건가요?”
🧠 핵심 개념:
신경다양성(Neurodiversity)은 사람들의 뇌 구조와 인지 방식이 다양하며, 자폐(Autism), ADHD, 난독증(Dyslexia) 같은 특성도 **병이 아니라 ‘차이’**로 보아야 한다는 생각에서 출발해요.
이 개념은 1990년대 후반, 자폐인 작가이자 사회학자 **주디 싱어(Judy Singer)**가 처음 제안했어요.
🎭 기존의 시선 vs. 신경다양성의 시선
항목기존 관점 (의학적 모델)신경다양성 관점 (사회적 모델)
자폐 | 치료하거나 고쳐야 할 장애 | 인간 다양성의 한 종류 |
ADHD | 집중력 부족 → 약물치료 필요 | 빠른 사고, 창의성의 표현 |
학습장애 | 정상에 못 미치는 성적 | 다른 방식의 학습 능력 |
해결책 | 약물, 교정, 치료 | 환경 조정, 이해, 포용 |
🎉 비유로 이해하는 신경다양성
🔧 예시 1. 운영체제(OS) 이야기
자폐 뇌 = 리눅스
일반 뇌 = 윈도우
ADHD 뇌 = 맥OS
- 리눅스는 윈도우보다 다르게 작동하지만, 보안에 강하고 특정 작업엔 훨씬 뛰어나죠.
- ADHD 뇌는 마치 앱 전환을 빨리 하면서도 창의적 연결을 잘하는 맥북처럼 작동해요.
- 다른 OS라고 해서 고장났다고 하지 않잖아요? 자폐 뇌도 마찬가지예요.
🧩 예시 2. 레고 블록 이야기
- 세상이 **직육면체 블록(일반적인 뇌)**만으로 이루어졌다고 상상해보세요.
- 그런데 어느 날, **정육면체 블록(자폐), 원형 블록(ADHD)**이 등장해요.
- 기존 구조물엔 안 맞지만, 새로운 구조나 아이디어엔 딱 들어맞는 블록!
- 신경다양성은 그 블록들이 쓸모없지 않다는 걸 알아보는 시선이에요.
🌍 실제 세상에서의 신경다양성 운동
💡 기업: 마이크로소프트의 'Neurodiversity Hiring Program'
- 자폐인을 위한 면접 형식 변경(글쓰기나 실습 중심), 감각 자극 줄인 공간 제공
- 결과: 뛰어난 기억력, 반복작업 능력 등 업무 성과 매우 우수!
🏫 교육: 미국 일부 초등학교의 ‘감각다양성 교실’
- 조용한 조명, 소리 조절, 의자 대신 쿠션/해먹 등 감각 환경 맞춤형 교실
- 자폐·ADHD 학생의 불안 감소 + 집중력 향상
🧑🎤 문화: 자폐 뮤지션들이 주도하는 페스티벌
- 영국 ‘Autism Arts Festival’: 자폐 예술가들이 무대, 영상, 설치미술, 음악 모두 주도
- 관객도 조용한 공간에서 감상, 소음 적고 강요 없는 자유로운 참여
🧭 신경다양성 운동이 우리에게 주는 메시지
“당신은 틀린 게 아니라, 다른 것뿐이에요.”
이 운동은 자폐인만을 위한 게 아니라, 우리 모두를 위한 거예요.
왜냐하면 우리 뇌는 각자 다르고, 사회는 그 다양한 뇌들이 함께 살아가야 하니까요.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