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심리학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이론이란?
로슬리
2025. 3. 31. 16:03
728x90
에릭 에릭슨(Erik Erikson)은 심리학자이자 정신분석학자로, 사람이 인생을 살아가면서 겪는 심리적 변화와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해 연구했어요. 그는 인생을 8단계로 나누어서, 각 단계마다 특정한 심리적 갈등이 있으며, 이를 해결하면서 사람이 성장하고 발전한다고 봤죠. 🌱
에릭슨의 이론에서 가장 중요한 건 **"자아"**와 **"사회적 관계"**가 어떻게 영향을 미치며 발달하는지예요. 즉, 사람은 생애 전반에 걸쳐 계속해서 변화하며, 각 단계에서 중요한 심리적 과제를 해결해야 해요.
에릭슨의 8단계 심리사회적 발달 🧠✨
각 단계는 특정한 사회적 갈등을 해결하면서 성장한다고 했어요. 각 갈등을 건강하게 해결하면 자아가 튼튼하게 성장하고, 사회적 관계도 잘 형성된다고 볼 수 있어요.
1단계: 신뢰 대 불신 (0~1세)
- 핵심 갈등: 신뢰를 형성할 수 있느냐 없느냐
- 설명: 아기는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세상에 대한 신뢰감을 배우게 돼요. 이 시기에 부모가 일관되고 신뢰할 수 있는 보살핌을 제공하면, 아기는 세상이 안전하고 믿을 수 있다고 느끼게 돼요.
- 만약 이 갈등이 해결되지 않으면 아이는 세상에 대해 불신을 느끼게 될 수 있어요.
- 예시: 아기가 울 때 엄마가 응답을 해주면, 아기는 세상이 안전하고 믿을 수 있다고 느껴요! 👶💖
2단계: 자율성 대 수치심 (1~3세)
- 핵심 갈등: 자율성(자기주도성)을 가질 수 있느냐 없느냐
- 설명: 이 시기의 아이들은 스스로 행동하려는 욕구가 강해져요. 예를 들어, 혼자서 옷 입기나 화장실 가기를 하려고 하죠.
- 만약 부모가 너무 간섭하거나 아이의 행동을 부정하면, 아이는 자기 자신에 대해 수치심을 느낄 수 있어요.
- 예시: 아이가 혼자서 옷을 입으려고 하다가 실수하면, 부모가 **"괜찮아, 다시 해볼 수 있어!"**라고 격려하면, 아이는 자율성을 키우고 더 자신감을 가질 수 있어요. 🧸
3단계: 주도성 대 죄책감 (3~6세)
- 핵심 갈등: 주도성을 발휘할 수 있느냐, 아니면 죄책감을 느끼게 되느냐
- 설명: 이 시기의 아이들은 자신의 생각과 행동을 계획하고 실행하려는 욕구가 강해져요.
- 만약 부모가 아이의 활동을 억제하거나 비난하면, 아이는 죄책감을 느낄 수 있어요.
- 예시: 아이가 놀이에서 주도권을 잡고 역할을 맡을 때, 부모가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면 아이는 자신의 능력을 믿고 주도적으로 행동할 수 있어요! 🎨
4단계: 근면성 대 열등감 (6~12세)
- 핵심 갈등: 근면성을 가질 수 있느냐, 아니면 열등감을 느끼게 되느냐
- 설명: 이 시기의 아이들은 학교에서의 성공이나 친구와의 관계에서 자신의 능력을 증명하려 해요.
- **만약 이 시기에 실패를 경험하거나, 자신의 능력이 인정되지 않으면, 아이는 열등감을 느끼게 될 수 있어요.
- 예시: 학교에서 친구들과 협력하여 프로젝트를 마무리하거나, 운동에서 좋은 성과를 낸다면, 아이는 자신감을 얻고 자아 존중감을 키울 수 있어요. 🏆📚
5단계: 정체감 대 역할 혼미 (12~18세)
- 핵심 갈등: 자신의 정체성을 찾을 수 있느냐, 아니면 역할 혼미에 빠지게 되느냐
- 설명: 청소년기는 자아 탐색의 시기예요. 이때 자기 자신에 대해 고민하고,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를 찾으려고 하죠.
- 만약 이 시기에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지 못하면, 청소년은 혼란스러움을 느끼고, 자신의 역할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 처할 수 있어요.
- 예시: 친구, 학교, 취미 등을 통해 자신의 가치를 찾고, 직업과 성격을 고민하면서 정체성을 형성해 나가게 돼요. 🎸
6단계: 친밀감 대 고립 (20~40대)
- 핵심 갈등: 친밀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느냐, 아니면 고립을 느끼게 되느냐
- 설명: 이 시기의 사람들은 친밀한 관계를 맺고, 깊은 사랑을 나누고, 친밀한 우정을 유지하려고 해요.
- 만약 이런 관계를 맺지 못하면, 고립감과 외로움을 느낄 수 있어요.
- 예시: 친구, 연인, 가족과의 깊은 관계를 통해 소속감을 느끼고, 자아를 나누는 것이 중요해요. 💕
7단계: 생산성 대 침체 (40~65세)
- 핵심 갈등: 생산성을 느낄 수 있느냐, 아니면 침체에 빠지게 되느냐
- 설명: 이 시기의 사람들은 자신이 세상에 미친 영향을 되돌아보며 가족을 지원하거나 사회적으로 기여하는 일에 집중해요.
- **만약 자신의 역할이 별로 의미가 없다고 느끼면, 침체감에 빠지게 될 수 있어요.
- 예시: 자녀 양육이나 사회적 기여 활동을 통해 자신의 역할과 기여를 느끼게 돼요. 🌍
8단계: 통합 대 절망 (65세 이상)
- 핵심 갈등: 인생의 의미를 통합할 수 있느냐, 아니면 절망에 빠지게 되느냐
- 설명: 인생의 마지막 단계에서 자신의 삶을 돌아보며 평화롭게 받아들이고 만족할 수 있는지, 아니면 후회와 절망에 빠지게 되는지의 갈등이 있어요.
- 예시: 자신의 삶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평화롭게 삶을 마무리하는 것이 중요해요. 🌅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이론을 요약하면?
에릭슨의 이론은 **사람이 각 단계에서 마주치는 '심리적 과제'**를 해결하면서 자아가 성장하고 사회적 관계가 깊어지는 과정을 보여줘요. 각 단계에서 성공적인 해결이 이루어지면 건강한 성격과 성숙한 인격이 형성되고, 실패하면 갈등이나 불안이 생길 수 있어요.
결국, 인생은 계속해서 변화하는 과정이에요. 각 단계마다 성장할 기회가 주어지고, 그 기회를 잘 잡으면 더 나은 사람이 될 수 있어요! 🌱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