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폐증, AUTISM, ASD, 발달장애

“말하지 않아도, 나는 생각한다: 비언어 자폐인의 세계”

by 로슬리 2025. 4. 8.
728x90

🧩 “비언어 및 저언어 자폐인(Non-Speaking and Minimally Verbal Autistics)”

에 대해 재미있고 전문적이며 감동적으로 설명드릴게요.
이 내용은 교육자, 부모, 전문가, 일반 대중에게 모두 중요한 인식 개선 주제이기도 합니다.


🗝️ “말하지 않아도, 우리는 생각하고 있다” — 비언어·저언어 자폐인의 세계

1️⃣ ✋ "말을 못 한다"는 건 "생각이 없다"는 뜻이 아니다

먼저, 많은 사람들이 이런 식으로 잘못된 가정을 합니다:

❌ 말을 못 하면 지능이 낮다
❌ 언어가 없으면 감정이 없다
❌ 대화가 안 되면 교육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사실은 전혀 다릅니다.

✅ 말을 하지 않아도 풍부한 감정, 생각, 인지 능력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많습니다.
✅ 비언어·저언어 자폐인은 입 말(speech) 대신 다른 방식으로 세상과 소통합니다.


2️⃣ 🧠 언어 ≠ 지능: 과학적 증거

📊 연구 결과:

  • 비언어 자폐인 중 상당수가 평균 이상의 비언어적 지능을 가짐
  • 글쓰기, AAC(보완대체의사소통) 도구를 통해 복잡한 생각을 표현하는 사례 다수

실제 사례:

🧑‍🎓 이도라(Ido Kedar) — 비언어 자폐 작가
"사람들이 내가 바보라고 생각했지만, 나는 내 머릿속에서 철학을 하고 있었다."
→ 키보드를 통해 책 “Ido in Autismland” 출간


3️⃣ 💬 '말' 없는 소통의 다양한 방식

비언어·저언어 자폐인은 다양한 방식으로 소통합니다:

소통 방식설명
🧾 AAC 기기 말 대신 그림, 글자, 음성 출력 기기 사용 (예: 아이패드 앱 Proloquo2Go)
✍️ 철자판/키보드 철자판을 손가락으로 누르며 문장 만들기
🖼️ 그림카드 (PECS) 상황별 그림을 보여주며 의사 표현
🤝 행동/제스처 눈맞춤, 손잡기, 특정 패턴의 움직임 등

💡 중요한 점은:
그들이 소통할 수 없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그들의 소통방식을 배우지 않았다는 것.


4️⃣ 😔 가장 자주 겪는 편견과 차별

  • “저 아이는 뭘 모를 거야.”
  • “얘는 교육 효과가 없어.”
  • “그냥 시설에 맡기세요.”
  • “말도 못 하는데 뭘 하겠어요?”

이러한 말들은 그들의 가능성을 가로막고,
감정과 인권을 무시하는 폭력적 태도입니다.

🧩 자폐인권운동가 Amanda Baggs의 말:
“내 언어가 당신과 다를 뿐입니다.
당신이 내 언어를 이해하려 하지 않는다면,
소통하지 않는 쪽은 바로 당신입니다.”


5️⃣ 📣 세계의 변화: "비언어 자폐인도 말할 권리가 있다"

🌍 주요 움직임

  • AutCom (미국): 비언어·저언어 자폐인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권리 보장 운동
  • Spellers Movement: 철자판과 키보드 사용을 통해 자기 목소리를 찾는 사람들의 커뮤니티
  • UN 자폐의 날 (2023 테마): “Transforming the narrative: Contributions at home, at work, in the arts and in policymaking” — 비언어 자폐인의 기여를 강조

📺 미디어 소개

  • 다큐멘터리 《The Reason I Jump》
    ↳ 비언어 자폐 소년들의 내면 세계를 감각적으로 표현한 영화 (★ 추천)

6️⃣ 🏫 교육과 지원에서 필요한 것들

✔️ 교실에서는?

  • 보완대체의사소통(AAC)을 수업 도구로 적극 활용
  • 단순 지시/훈련이 아닌, 자율 표현과 선택권 중심 수업
  • 감각 과민함을 고려한 환경 조성 (조명, 소리, 휴식 공간 등)

✔️ 가정에서는?

  • 기다려주기, 반복해주기, 선택지를 제공하기
  • 가족 모두 AAC 사용법 익히기
  • “말을 안 하니까 아무것도 못 한다”는 생각 버리기

✔️ 사회에서는?

  • 공공기관, 병원, 행사 등에 AAC 접근성 보장
  • 면접, 상담, 의료에서도 비언어 대체 수단 허용
  • ‘의사 표현은 인간의 권리’라는 기본 관점 확산

7️⃣ 📌 용어 정리

용어설명
Non-Speaking Autistic 발화(speech)가 없는 자폐인 (과거엔 'mute'로 불렸으나 현재는 지양)
Minimally Verbal Autistic 짧고 제한적인 발화만 가능한 자폐인 (예: 단어 몇 개로만 의사 표현)
AAC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보완대체의사소통 – 말 이외의 방식으로 소통을 돕는 모든 도구

🧡 마무리 메시지

“그들도 말할 수 있습니다.
단지, 그들의 목소리는 다르게 생겼을 뿐입니다.”

비언어 자폐인은 도움이 필요한 사람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세상을 다르게 보는 방법을 알려주는 스승이기도 합니다.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