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자폐증(ASD)의 주요 유전자·효소 문제와 식이요법 기반 해결 사례
🔬 1. MTHFR 유전자 (Methylenetetrahydrofolate Reductase)
🔹 기능
- 엽산(폴산)을 활성 형태(5-MTHF)로 전환하는 효소 생산
- 메틸화 경로와 DNA 수복, 신경전달물질 합성에 관여
🔹 대표 변이
- C677T, A1298C
- 대사 저하 시 호모시스테인↑, 글루타티온↓, 세로토닌/도파민 합성↓
🔹 문제점
- 뇌 발달 지연, 언어지연, 불안정한 정서 반응, 해독 능력 저하
🍽️ 해결 식이요법
- 활성 엽산(5-MTHF) 보충 (400~800 mcg/day)
- 메틸코발라민(B12) 함께 섭취 → 메틸화 촉진
- 엽산 풍부한 식품: 시금치, 간, 브로콜리, 아보카도, 달걀 노른자
- 가공식품, 합성 엽산 첨가 제품 지양
✅ 사례
5세 남아, C677T 변이 확인 → 3개월간 5-MTHF, B12 보충 + 가공식품 제거 후, 발화 단어 수 2배 증가, 수면 패턴 안정
🔬 2. CBS 유전자 (Cystathionine Beta-Synthase)
🔹 기능
- 호모시스테인을 시스타치오닌으로 전환
- 황 대사 경로 관장 → 황화합물, 황화수소 생성 조절
🔹 문제점 (과활성 시)
- 황화수소, 아황산, 암모니아 축적
- 과민반응, 예민성, 소화장애, 공격성 유발
🍽️ 해결 식이요법
- 일시적 황이 많은 식품(마늘, 양파, 브로콜리 등) 제한
- 글루타티온, NAC, 비타민 C, 셀레늄 등 항산화제 섭취
- L-글리신, B6 보충으로 암모니아 제거 유도
✅ 사례
6세 여아, 공격성 및 과민성 심함 → 황 식품 제한 + 비타민 C, NAC 보충 후 2개월 내 정서 안정성 호전, 변 냄새 감소
🔬 3. MAO-A 유전자 (Monoamine Oxidase A)
🔹 기능
-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도파민 분해 조절
- 감정조절, 불안, 수면 등과 밀접
🔹 문제점 (기능 저하 시)
- 세로토닌 분해 느림 → 불안, 불면, 충동성, 분노
- 기질적으로 예민하고 수면장애 동반
🍽️ 해결 식이요법
- 트립토판 풍부 식품: 바나나, 견과류, 칠면조, 연어
- B6, 마그네슘, 아연 등 세로토닌 합성 보조영양소 보충
- **MAOI 식품(치즈, 간장 등 발효식품)**은 유전자형에 따라 조절 필요
✅ 사례
9세 남아, 수면장애 및 불안 심각 → 트립토판 식품 강화 + B6/아연/마그네슘 섭취 → 6주 내 수면시간 1.5시간 증가, 아침 불안 증상 완화
🔬 4. COMT 유전자 (Catechol-O-Methyltransferase)
🔹 기능
-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대사 조절
- 스트레스 반응, 집중력, 감정조절 능력에 영향
🔹 문제점
- 저활성(COMT -/-, 메틸화 과부하): 과잉 스트레스 반응, 불안, 과잉행동
- 과활성(COMT ++): 무기력, 집중력 저하
🍽️ 해결 식이요법
- 저활성형: 마그네슘, 비타민 B6, 루테올린, 녹차(카테킨) 제한
- 과활성형: 콩, 아보카도, 블루베리 등 도파민 전구체 풍부 식품 섭취
- 메틸화 경로 보조제 조절 필요
✅ 사례
7세 아동, COMT 저활성 확인 → B6/마그네슘 보충 후, 충동성 감소, 좌절 시 감정 폭발 줄어듦
🔬 5. DAO 효소 (Diamine Oxidase)
🔹 기능
- 히스타민 분해 효소
- 장내 염증, 알레르기, 두통, 행동 장애와 연관
🔹 문제점
- DAO 저활성 → 히스타민 과다 축적
- ADHD 유사행동, 식품 알레르기, 비염, 피부 트러블
🍽️ 해결 식이요법
- 히스타민 저함유 식단: 가공육, 발효식품, 생선 저장식품 피함
- DAO 보조제 또는 쿼세틴, 비타민 C, B6, 구리 보충
- 항히스타민 식품: 브로콜리, 사과, 강황
✅ 사례
8세 여아, 식사 후 집중력 저하 및 안면홍조 → 히스타민 저식단 + DAO 보조제 복용 → 4주 내 주의력 회복, 식사 후 졸림 감소
🔬 6. MTR/MTRR 유전자
🔹 기능
- 메틸코발라민(B12)을 이용해 메틸화 촉진
- 세포 에너지 생산과 신경 발달에 관여
🔹 문제점
- 에너지 대사 저하, 엽산 대사 이상
- 발달 지연, 근긴장 저하, 집중력 저하
🍽️ 해결 식이요법
- 메틸코발라민 B12, 5-MTHF 엽산 함께 보충
- 단백질 충분 섭취 (아미노산 공급)
- 산화스트레스 완화 식단 병행
✅ 사례
4세 남아, MTRR 변이 + 근긴장 저하 → B12 주사 치료와 고단백 식단 병행 → 3개월 내 앉은 자세 안정, 눈맞춤 증가
📘 요약 표
유전자주요 문제필요한 식이요법예상 개선 영역
MTHFR | 메틸화 저하 | 활성 엽산, B12 | 언어, 집중력 |
CBS | 황 대사 과잉 | 황 제한, 항산화제 | 감각 과민, 소화 |
MAO-A | 세로토닌 분해 이상 | 트립토판, B6, Mg | 불안, 수면 |
COMT | 도파민 대사 불균형 | 맞춤 영양 | 감정조절, 스트레스 |
DAO | 히스타민 분해 저하 | 저히스타민 식단 | 알레르기, ADHD |
MTR/MTRR | B12/엽산 대사 이상 | 메틸B12, 단백질 | 발달, 근긴장 |
📂 부록: 식단 구성 예시
✅ 메틸화 촉진 식단 예시
- 아침: 삶은 달걀, 귀리, 아보카도
- 점심: 연어구이, 시금치볶음, 현미밥
- 간식: 바나나 + 호두
- 저녁: 닭가슴살, 브로콜리, 당근
✅ 항산화 식단 예시
- 블루베리, 시금치, 강황, 녹차, 마늘(비황기 기준 조절), 토마토
📌 결론
자폐 아동의 유전자 및 효소 대사 이상은 개별적이며 복합적입니다.
따라서 유전자 검사 결과에 따라 맞춤형 식이요법과 영양 중재가 매우 효과적입니다.
무작정 일반 비타민을 먹이는 것이 아니라, 대사 경로에 맞는 활성형 형태의 영양소 공급이 핵심입니다.
728x90
LIST
'자폐증, AUTISM, ASD, 발달장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mTOR 경로와 자폐증: 뇌 대사의 숨겨진 스위치 (0) | 2025.04.14 |
---|---|
자폐증, 뇌 청소부 미세아교세포와 시냅스 정원사의 이야기 (0) | 2025.04.14 |
「유전자가 말해주는 자폐 이야기: 음식으로 연결되는 치유의 실마리」 (1) | 2025.04.14 |
"락토바실러스 유래 세포외소포가 자폐 스펙트럼 장애에 미치는 영향: 장-뇌 축 기반의 분자생물학적 접근" (2) | 2025.04.11 |
"유전자에서 해답을 찾다: 야스코 박사의 자폐증 치료 접근법" (1) | 2025.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