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폐증, AUTISM, ASD, 발달장애

🧬 mTOR 경로와 자폐증: 뇌 대사의 숨겨진 스위치

by 로슬리 2025. 4. 14.
728x90

— 시냅스, 세포 대사, 그리고 신경 발달을 조율하는 마스터 키


📌 1. mTOR이 뭐길래?

mTOR은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 즉 라파마이신 표적 단백질의 약자입니다.
우리 몸의 세포 성장, 대사, 단백질 합성, 자가포식(autophagy)을 조절하는 중심 신호 전달 경로예요.

🧠 mTOR 경로의 핵심 기능

기능세부 설명
단백질 합성 조절 시냅스 형성 및 뉴런 성장 조절
자가포식 억제 손상된 세포소기관 제거 방해 가능
에너지 감지 세포 내 ATP/영양소 수준 인식
세포 성장 조절 과도한 시냅스 생성에 연관

mTOR은 결국 뇌 속 ‘대사 조절 센서’이자 시냅스 정렬 관리자인 셈입니다.


🧩 2. 자폐증과 mTOR의 비정상적 연결

자폐증 뇌에서 발견된 mTOR 관련 특징

  1. mTOR 경로 과활성화
    • 시냅스가 과도하게 생성됨
    • 불필요한 연결(시냅스 가지치기 실패)
  2. 미세아교세포 기능 저하
    • 시냅스 정리 실패 → 신경망 과연결
  3. 신경 가소성 저하
    • 학습과 기억을 위한 뇌의 유연성이 감소

🧠 3. 자폐증 생쥐 모델에서의 연구 사례

🧪 연구 1: mTOR 과활성과 시냅스 가지치기 실패 (Nature, 2014)

  • 자폐 유전자 돌연변이(TSC1, PTEN, FMR1)를 가진 생쥐에서
    mTOR 경로가 과활성화 → 시냅스 과잉 형성
  • 라파마이신 투여
    • mTOR 억제 → 정상적인 시냅스 수 회복
    • 사회성 행동 회복!

🧪 연구 2: PTEN 결손 마우스 (Cell Reports, 2016)

  • PTEN은 mTOR 억제 유전자
  • PTEN이 결손되면 mTOR 브레이크가 풀려 시냅스 폭주
  • 뇌가 과연결되어 감각 과민, 사회적 회피 행동 증가

🧠 4. mTOR의 스위치를 켜는 요인들

요인작용 방식자폐증 연관 가능성
고혈당 mTOR 과활성 인슐린 저항성과 연관
글루텐·카제인 염증 유도 가능 장-뇌 축 통해 간접 자극
활성산소(ROS) 자가포식 억제 신경세포 노화 촉진
항산화 결핍 mTOR 불균형 글루타티온 감소 시 조절력 저하
장내 미생물 불균형 대사물질 변화 SCFA 등으로 mTOR 경로 자극 가능

🍽️ 5. 식이요법으로 mTOR 경로 조절 가능할까?

✅ mTOR 억제에 도움되는 식품/성분

영양소/성분작용주요 식품
라파마이신 유사물질 mTOR 억제 미생물 발효물, 일부 약물
레스베라트롤 항염, mTOR 억제 포도껍질, 다크초콜릿
EGCG mTOR 억제 녹차
커큐민 염증 억제, mTOR down 강황
칼로리 제한 대사 스트레스 감소 저탄고지, 간헐적 단식 등
케톤식 에너지 대사 전환 고지방-저탄수화물 식단

❌ 피해야 할 것들

  • 고탄수화물, 고당 식사
  • 정제 탄수화물 (하얀 빵, 설탕, 과자)
  • 장내염증 유발 식품 (가공육, 트랜스지방)

🔁 6. 자폐증과 mTOR: 경로 간 상호작용

mTOR은 다음과 같은 경로와 서로 연결됩니다:

[ 인슐린 신호 ][ PI3K → Akt → mTOR ][ 자가포식 억제 / 단백질합성 증가 ] [ AMPK 경로 ] → mTOR 억제 (에너지 부족 상태) [ SIRT1 → mTOR 억제 ] (칼로리 제한 시 작동)

따라서, 에너지 대사, 염증, 산화 스트레스, 장내미생물까지가 모두 mTOR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자폐 행동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7. 치료적 가능성: mTOR을 조절하면 자폐 증상이 나아질까?

💊 약물 연구

  • 라파마이신: 실제로 자폐 모델에서 사회성, 반복행동 개선
  • 메트포르민: 인슐린 민감도 개선 + mTOR 억제, ASD 임상시험 진행 중
  • EGCG 보충제: 다운증후군-자폐 겹친 아동에게 긍정적 효과 보고

🍽️ 비약물 전략

  • 케톤식이요법: 뇌 에너지 효율 증가 + mTOR 억제
  • 간헐적 단식(IF): AMPK/SIRT1 경로 활성 → mTOR 조절
  • 고지방 저탄수화물 식단(LCHF): mTOR 밸런스 복원 시도

🎬 에필로그: "mTOR은 뇌 대사의 지휘자다"

"당신이 먹는 음식이 당신의 mTOR을 자극하고,
그 mTOR이 시냅스를 늘릴지 줄일지를 결정합니다.
그리고 그 시냅스의 네트워크가 당신의 행동, 정서, 사회성을 만듭니다."


✅ 요약 정리

항목내용
mTOR 세포 성장, 대사, 시냅스 조절 단백질
자폐와의 연관 과활성 시 시냅스 과잉 → 자폐 행동 유발 가능
억제 방법 약물(라파마이신), 식이요법(케톤식, 항염 식단)
핵심 전략 인슐린 조절, 염증 감소, 항산화 강화, 미생물 균형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