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1. 아이의 “좋아하는 것”에서 출발하기
✅ ‘선호도 평가’ 먼저 하자!
무발화 아동은 좋아하는 것을 말로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 먼저 다음 방법으로 아이가 선호하는 것을 찾아야 해요:
- 시선 추적: 어떤 장난감이나 그림에 눈길이 오래 머무는가?
- 접근 행동: 스스로 다가가는 장난감/사람/활동은?
- 행동 반복: 특정 행동(예: 돌리기, 흔들기)을 반복하는 물건은?
🔍 사례
예: 어떤 아이가 장난감보다 물병을 흔드는 걸 좋아한다면, 그 물병을 동기유발의 도구로 사용할 수 있어요. 즉, “물병 흔들기 타임”을 보상으로 줄 수 있어요.
🌟 2. “감각”을 활용한 동기유발 기법
지적장애·자폐 아동은 감각 추구형이거나 감각 회피형일 수 있어요. 이 특성을 이용하면 학습과 상호작용에 큰 효과를 볼 수 있어요.
🎨 감각 놀이 활용 예시
시각 | 반짝이는 LED 장난감, 비눗방울 | 행동을 하면 반짝임이 보인다 |
청각 | 딸랑이, 종소리, 피아노 소리 | 버튼 누르면 소리가 난다 |
촉각 | 슬라임, 모래놀이, 붓 마사지 | 잘하면 슬라임을 5분간 만지게 해줌 |
전정(균형) | 그네, 스윙해먹, 트램펄린 | 참여하면 3분간 흔들어 줌 |
🎁 보상 설계
"한 번 교구에 손을 대면 → LED 공이 반짝이는 시간 5초"
이처럼 아이의 감각선호를 보상으로 활용하면, 학습이나 활동 참여 동기를 높일 수 있어요.
🤝 3. ‘공동주의’ 기반 상호작용 만들기
무발화 아동은 ‘사회적 동기’가 약할 수 있어요. 그래서 우리가 먼저 아이의 세계에 들어가야 해요.
🚀 ‘공동주의’ 기법 예시
- 아이가 집중하는 대상에 관심 가지기
→ 예: 아이가 구슬을 굴리고 있으면 함께 바라보며 “와~ 잘 굴러가네!” 몸짓과 표정으로 반응하기 - 아이의 행동 모방하기
→ 아이가 손을 탁탁 치면, 교사도 같은 방식으로 따라 하기 - 예측 가능한 반복 패턴 제공하기
→ “같은 행동-같은 반응”이 반복되면 아이는 점점 더 참여하려 함
🌈 실전 놀이 예시
- 놀이: 풍선 터뜨리기 게임
- 교사가 풍선을 부풀리다 멈추고, 아이가 버튼을 누르면 “빵!” 소리와 함께 풍선이 터짐
- 아이가 참여할수록 흥미와 집중도 상승
🧠 4. 행동강화를 통한 동기유발 (ABA 기법 일부 응용)
Applied Behavior Analysis(응용행동분석)은 동기유발의 핵심 기법이에요.
🔑 핵심 전략
- 즉각적 보상: 원하는 행동 직후 바로 좋아하는 자극 제공
- 단계적 강화: 아주 작은 행동 성공도 칭찬 및 보상
예시 시나리오
- 목표: 아이가 의사 표현을 위해 버튼을 누르게 하기
- 1단계: 손을 버튼에 가까이만 대면 좋아하는 노래를 재생
- 2단계: 버튼을 누르면 불빛과 음악, 그리고 풍선 제공
- 3단계: 일정 횟수 누르면 더 큰 보상 (예: 슬라임 5분간 제공)
이런 식으로 “작은 행동 → 큰 성취”의 연속 경험을 주면, 아이 스스로 반복하려는 내적 동기가 생겨요.
📱 5. 보완대체의사소통(AAC) 도구 활용하기
무발화 아동이지만 ‘표현 욕구’는 분명히 있어요. 이를 도와주는 도구가 AAC예요.
✅ 추천 도구 유형
- 그림카드(PECS): “과자 그림 카드”를 주면 과자를 줌
- 버튼형 의사소통 기기: 말소리가 나오는 말버튼, 사운드패드
- 태블릿 앱: ‘Let Me Talk’, ‘Proloquo2Go’ 등
🎉 AAC를 통한 동기유발
- 아이가 그림카드로 “거품놀이”를 고르면, 교사가 그 활동을 제공
- 아이는 점차 “내가 요구하면, 원하는 걸 얻을 수 있다”는 자신감과 동기를 느낌
💡 보너스: 일상 속 동기유발 놀이법 TOP 5
비눗방울 불기 | 시각+예측 | 아이가 눈을 깜빡이면 불어주기 |
물놀이 | 촉각+즐거움 | 작은 컵을 아이에게 주면 자유롭게 부을 수 있게 |
터널놀이 | 공간+움직임 | 반대편에서 이름 부르며 유도 |
종이 찢기 놀이 | 촉각+소리 | 잘 찢으면 “짠!” 하며 칭찬 스티커 |
노래로 대화 | 청각+리듬 | 아이의 행동에 맞춰 짧은 노래 불러주기 (“손을 뻗었네~ 손을 뻗었네~”) |
📌 마무리 팁
- 강요 없이 유도하세요. 억지로 하는 건 동기 꺼트려요.
- 아이가 주도하는 시간을 매일 포함시키세요. 선택권은 강력한 동기입니다.
- 작은 성공을 과장되게 축하하세요. “대박! 너 혼자 했어! 멋져!” 하고 말이죠.
- 기록을 남겨보세요. 어떤 자극에 반응했는지 관찰일지를 적으면 점점 패턴이 보입니다.
🧩 1단계: 아이의 ‘선호 자극’ 찾기 – 동기의 씨앗
🎯 목표: 아이가 선호하는 자극과 활동을 객관적으로 파악한다.
✅ 실천 항목
☐ | 감각자극 목록 만들기 | 시각, 청각, 촉각, 후각, 움직임 등 5가지 영역 자극별로 관찰하기 |
☐ | 선호도 평가(간이 FBA) | 3~5가지 장난감/음식/활동 중 어떤 것에 접근하거나 오래 집중하는지 기록 |
☐ | 선호자극 목록화 | 아동이 좋아하는 순서대로 리스트화. (예: 물 부기 > 슬라임 > LED 불빛 > 터널놀이) |
📌 팁
- 한 번에 1개 자극만 제공
- 아동이 직접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주기 (예: 교구 바구니에서 고르게 하기)
🎨 2단계: 감각기반 동기유발 놀이 설계 – 자극과 반응의 재미
🎯 목표: 아이의 감각적 선호를 활용한 상호작용 놀잇감을 준비한다.
✅ 실천 항목
시각 | 반짝이 병, 라이트볼, 거울 | 손 뻗으면 불빛 제공 |
청각 | 탬버린, 딸랑이, 버튼형 음성기기 | 소리 반응 반복 경험 제공 |
촉각 | 슬라임, 스펀지, 물감 | 과제 성공 시 촉각놀이 제공 |
전정 | 스윙해먹, 회전의자 | 참여 → 1분간 스윙 보상 |
고유수용 | 점프, 밀기, 당기기 놀이 | 힘주는 활동 자체가 강화물 |
🧪 도구 예시
- 감각 바구니 만들기: 선호 감각별로 아이템을 분류하여 보관
🤝 3단계: 상호작용 중심 놀이 기법 – ‘함께하는 재미’ 심기
🎯 목표: 사회적 상호작용의 즐거움을 느끼도록 한다.
✅ 실천 항목
모방 놀이 | 아이가 하는 행동을 따라함 | 아이가 박수를 치면 함께 치기 |
반응 놀이 | 아이 행동에 교사가 예측 가능한 반응 제공 | 손 뻗으면 “우와~!” 하고 사운드패드 누르기 |
반복 패턴 놀이 | 특정 동작과 결과를 반복적으로 제공 | 버튼 누르면 풍선 터짐 |
이름 부르기 놀이 | 터널 반대편에서 이름 부르며 유도 | “지민아~ 여기야!” |
🎲 활동 카드 예시
- “같이 흔들기”, “풍선 터뜨리기”, “음악 듣기” 등 시각자료 포함 활동카드 제공
🧠 4단계: 행동강화 체계 적용 – 작은 행동도 큰 보상처럼
🎯 목표: 아동의 자발적 참여 행동을 강화해 반복 유도한다.
✅ 실천 항목
1단계 | 즉각 보상 | 행동 후 1초 이내 보상 (감각자극 or 선호활동) |
2단계 | 점진적 강화 | “접근 → 터치 → 사용” 등 점진적으로 기준 높이기 |
3단계 | 토큰 보상 | 원하는 행동 3회 시 토큰 제공 → 모으면 보상 |
🎁 보상 예시
- 선호 자극 5분간 자유놀이
- 버튼형 사운드, LED 기기 작동권
- 슬라임/터널/거품놀이 3분간 제공
📱 5단계: 시각 구조화 및 AAC(보완대체의사소통) 사용 – 표현이 가능해야 참여도 가능
🎯 목표: 아동이 표현 수단을 갖추도록 돕고, 구조화된 환경에서 예측 가능하게 참여하도록 함
✅ 실천 항목
시각 스케줄 | 사진·그림 카드 | ‘지금-다음’, ‘순서’ 구조 시각화 |
AAC | 그림카드(PECS), 의사소통 버튼 | 활동/요구/거부 표현 유도 |
작업공간 구조화 | 개인 작업 매트, 바구니 | 물리적 공간을 명확히 구분해 과제 집중 유도 |
🧩 예시
- 그림카드로 “물놀이”를 고르면, 교사가 물놀이 제공
- “이건 싫어요” 카드도 포함해 거부 표현의 기회도 보장
📊 부록: 관찰일지 양식 (선호도 추적용)
4/21 | LED 장난감 | 눈 응시, 웃음 | ★★★★☆ | 소리 반응 없음 |
4/22 | 풍선 터뜨리기 | 스스로 버튼 누름 | ★★★★★ | 강력 선호 자극 |
💬 마무리 Tip
“동기유발은 시작이 아니라 연결의 기술입니다.
아이의 감각과 마음이 열릴 때, 우리는 비로소 ‘소통의 문’을 함께 여는 것이죠.”
📘 [동기유발 중심 일일 활동 계획서]
🎯 대상: 지적장애를 동반한 중증 자폐 아동 (무발화)
🧑🏫 적용자: 특수교사, 치료사, 부모
🕒 시간: 1일 2시간 프로그램 (총 5단계 활동 구성)
📍 목표: 자발적 반응과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한 감각 자극 기반 동기유발
🗓️ 일일 활동 흐름표 (총 2시간)
10:00~10:10 | 입장 및 감각준비 | 안정적 환경 진입 | 감각 자극존에서 아동이 자유롭게 탐색 (소리, 불빛, 촉감) | LED조명, 촉각패드, 스윙의자 |
10:10~10:30 | 선호자극 관찰놀이 | 선호 자극 탐색 및 강화요소 파악 | 3~4가지 자극을 제시하고 반응 기록 | 반짝이병, 슬라임, 작은풍선, 음악박스 |
10:30~10:50 | 상호작용 감각놀이 | 함께 하는 놀이의 재미 경험 | 아동 반응에 맞춰 반복적 감각 자극 제공 (버튼 누르기, 터널 통과 등) | 사운드버튼, 터널, 비눗방울 |
10:50~11:10 | 의사표현 연습 (AAC) | 선택 행동 표현 유도 | 그림카드 선택 → 선택한 활동 제공 | PECS 카드판, 활동사진 카드 |
11:10~11:30 | 감각보상 & 마무리 정리 | 참여에 대한 보상, 구조화된 종료 | 좋아하는 활동 제공 + 시각 스케줄로 마무리 예고 | 시각 스케줄보드, 선호활동 (슬라임/LED/거품놀이 등) |
🗂️ 계획서 세부 항목 설명
① 입장 및 감각준비 (10분)
- 목적: 환경 적응, 긴장 완화
- 환경 구성:
- 공간 구획: 차분한 음악, 따뜻한 조명
- 자극 아이템: 반짝이 병, 슬로우버블, 전정 그네
- 관찰포인트:
- 자극을 탐색하는 방식 (응시, 손으로 탐색, 소리 내기 등)
② 선호자극 관찰놀이 (20분)
- 목적: 동기를 유발하는 자극 찾기
- 방법:
- 한 번에 2~3개 자극을 제시하고 아동 반응 기록
- 선호도 순위 작성 (반응 강도/지속시간 등)
- 기록 예시:
슬라임 | 손으로 반복 만지기 | ★★★★☆ |
풍선 | 시선 집중, 미소 | ★★★★★ |
음악 | 5초 집중 후 이동 | ★★☆☆☆ |
③ 상호작용 감각놀이 (20분)
- 목적: 타인과 함께하는 즐거움 학습
- 활동예시:
- 아동이 버튼을 누르면 소리가 나고 교사가 함께 반응
- 아이가 터널을 통과하면 교사가 “짠!” 하고 등장
- 전략:
- 아동 행동 → 즉각적 감각적 결과 제공
- 반복을 통한 예측 가능성 + 안정감 부여
④ 의사표현 연습 (AAC) (20분)
- 목적: 표현 행동(요구/선택)을 유도
- 방법:
- 아동이 그림카드로 원하는 활동을 고르면 활동 제공
- ‘싫어요’ 카드도 함께 제공 → 선택 거부권 부여
- 도구: PECS 그림카드판, 실물 사진 카드
- 반응 기록 예시:
사용함 | “풍선놀이” | 교사 손 잡고 함께 풍선 놀이 |
사용 안 함 | X | 터널 쪽으로 직접 이동 |
⑤ 감각보상 & 종료 구조화 (20분)
- 목적: 참여 행동에 대한 긍정적 마무리
- 방법:
- 선호활동을 ‘보상’으로 제공
- 시각 스케줄카드로 “다음엔 ○○ 할 거야” 안내
- 사용 도구:
- 시각 타이머, 스케줄보드, 선호놀이 도구
- 보상 예시:
- LED 조명 벽 터치하기
- 슬라임 촉감놀이 5분 제공
- 풍선 터뜨리기 3회
📋 부록: 기록지 샘플
▶️ 아동반응 체크리스트 (선호도 기준)
항목관찰 내용점수(1~5)메모
소리 자극 | 고개 돌림, 짧은 응시 | 2 | 관심 낮음 |
불빛 | 손 뻗음, 웃음 | 5 | 매우 선호함 |
슬라임 | 반복적 만짐 | 4 | 촉감 민감하나 즐김 |
▶️ 참여 행동 강화기록지
4/22 | 터널 놀이 | ⭕ | 그림카드 선택 → 놀이 제공 | 웃음, 자발적 참여 |
4/22 | 음악버튼 | ❌ | 교사 손 유도 → 버튼 누름 | 반응 미약 |
728x90
LIST
'자폐증, AUTISM, ASD, 발달장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화하는 뇌, 변화하는 아이: 자폐 아동의 뇌가소성과 희망의 교육 전략" (0) | 2025.04.25 |
---|---|
🧬 영양소, 유전자, 그리고 자폐증: 우리가 몰랐던 연결 고리 (0) | 2025.04.22 |
“고열이 열어주는 창: 자폐증과 신경면역 회복의 단서” (부제: “자폐 스펙트럼에서 고열이 유발하는 일시적 회복 현상과 그 의미”) (0) | 2025.04.16 |
“자폐증과 부신피로: 스트레스와 감각 민감성의 생리학, 그리고 회복의 전략” (1) | 2025.04.16 |
“앙투안 베샹의 생명지형 이론을 바탕으로 한 자폐증 회복의 새로운 접근” (0) | 2025.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