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폐증, AUTISM, ASD, 발달장애

“자폐와 ADHD, 뇌는 어떻게 다르게 생각하는가?”

by 로슬리 2025. 4. 7.
728x90

🧠 자폐와 ADHD의 인지처리 특징 비교 연구


1. ✅ 공통점 (ASD & ADHD의 인지적 중첩)

영역공통 특징
집행기능(Executive Function) 계획, 주의 조절, 작업기억 등에서의 어려움
주의력 조절 산만함, 외부 자극에 대한 민감성
자기조절(Self-regulation) 감정 및 충동 조절의 어려움
사회적 단서 처리 사회적 신호 해석의 어려움 (다만 방식은 다름)
  • ➕ 두 장애 모두 정신적 유연성(cognitive flexibility) 저하를 보이기도 함
  • ➕ 학령기 아동에서는 학습 및 정서 문제가 동시에 나타나기도 함

2. 🧩 차이점

인지 영역ASD 특징ADHD 특징
주의력 제한적 관심 집중, 특정 관심사에 몰두 (선택적 과집중) 지속적 주의력 결핍, 자극에 쉽게 반응
정보처리 방식 세부 정보 중심(Weak Central Coherence), 통합력 부족 전반적 처리 가능하나 산만함으로 인해 오류 발생
사회적 인지 타인의 시선, 감정 해석이 어렵고 비언어적 신호 인식에 어려움 사회성은 비교적 양호하나 충 impulsivity로 대인관계 충돌 가능
감각처리 감각 과민/과소 반응, 특정 감각에 집착 일부 감각 민감성 있으나, 주의력 문제와 직접 연결
언어 사용 독특하거나 반복적인 표현, 비유 이해 어려움 산만하거나 충동적인 언어 사용, 문맥 벗어나기도 함

3. 🔍 자폐+ADHD 공존 시 인지 프로파일

  • 전체 ASD 아동의 약 **30~80%**가 ADHD 증상도 보임 (연구마다 다름)
  • ADHD 증상이 있는 자폐 아동은 다음과 같은 경향이 있음:
    • 더 심한 주의결핍충동조절 문제
    • 사회적 규칙 습득의 어려움 증가
    • 감정 기복이나 불안, 행동문제 동반률 ↑
    • 치료 개입 시에도 더 복합적인 접근 필요

4. 🧠 주요 인지이론 적용

이론자폐ADHD
집행기능 결함 이론 계획 및 유연성 문제 주의조절 및 자기통제 문제
정신화이론 (Theory of Mind) 타인의 마음 읽기 어려움 일반적으로 양호하나 일부 지연 있음
중앙일관성 약화(Weak Central Coherence) 세부에 몰입, 전체 파악 어려움 전체는 보지만 지속적 집중이 어려움
주의 전환 결함 하나의 관심사에 과집중 너무 잦은 전환으로 집중 불가

5. 🧪 연구 예시

  1. Ozonoff & Jensen (1999)
    • 자폐 아동과 ADHD 아동 비교:
      집행기능 손상은 모두에게 존재하나, ASD는 유연성 문제, ADHD는 억제력 문제가 더 뚜렷.
  2. Craig et al. (2016)
    • 공존군(ASD+ADHD)의 뇌영상 연구:
      → 전두엽-주의 네트워크에서 이중 장애 특성 보임
  3. Antshel et al. (2013)
    • 두 장애의 치료 접근 차이 비교
      → ASD는 구조화된 환경이 중요, ADHD는 즉각적인 피드백 중심 개입이 효과적

🧠 결론: 인지처리 관점에서의 차별화된 지원 필요

  • 자폐의미와 맥락 이해에 약하고,
  • ADHD주의 유지와 행동 억제에 약합니다.
  • 따라서 개인 맞춤형 평가와 중재가 핵심이며,
  • 특히 공존하는 경우에는 감각, 언어, 정서, 사회성 등 다영역 통합 개입이 필요합니다.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