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폐증, AUTISM, ASD, 발달장애

"장내 미생물과 미세아교세포의 대화: 자폐와 장-뇌 축"

by 로슬리 2025. 4. 14.
728x90

— 소장의 균과 대뇌의 세포가 나누는 놀라운 속삭임


🧩 1. 자폐증은 단지 ‘뇌’의 문제일까?

자폐증은 사회적 상호작용 결핍, 반복행동, 감각 과민/둔감 등의 증상이 특징입니다.
하지만 최근 연구들은 단순히 뇌 신경전달물질 이상만으로 설명되지 않음을 보여줍니다.

의외의 지점: 많은 자폐 아동이 장 질환, 설사, 변비, 복부 팽만소화기 증상을 함께 겪습니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묻기 시작했죠:
👉 혹시 장 속의 세균이 뇌 발달에 영향을 주는 건 아닐까?


🧬 2. 장-뇌 축(Gut-Brain Axis)이란?

장-뇌 축이란 장내 미생물군, 장 상피, 면역계, 미주신경, 신경전달물질 등이 연결된 복잡한 상호작용 경로입니다.

🔄 장과 뇌는 이렇게 소통해요

경로설명
면역 경로 장내 미생물 → 면역세포 자극 → 염증 물질 → 혈류 타고 뇌에 영향
신경 경로 미주신경(Vagus nerve)을 통해 장 → 뇌로 직접 신호 전달
내분비 경로 장내 세균 대사물질(SCFA 등) → 뇌 기능 조절
신경전달물질 생산 장 세균이 GABA, 세로토닌 등 직접 생산

🔬 3. 미세아교세포(Microglia): 뇌 속 면역 세포

미세아교세포는 뇌 속의 청소부이자 건축가입니다.

역할설명
면역 방어 병원체, 손상된 세포 제거
시냅스 가지치기 불필요한 시냅스 제거 → 신경망 정리
발달 조율 뉴런 발달 유도, 신호 전달 미세조정
염증 조절 뇌 내 염증 반응의 중심축

하지만 과도하게 활성화되면 시냅스를 지나치게 제거하거나 만성 염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4. 장내 미생물이 미세아교세포에 미치는 영향

과학자들은 무균 생쥐(germ-free mice)에서 미세아교세포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음을 확인했습니다.

주요 실험 결과 (Nature Neuroscience, 2016)

  • 무균 생쥐의 미세아교세포는 모양이 비정상, 시냅스 가지치기 기능 저하
  • 장내 세균을 이식하면 미세아교세포 기능이 회복됨

➡ 즉, 장내 미생물이 뇌의 면역세포 기능을 조율한다는 것!


🧠 5. 자폐증에서 장내 미생물과 미세아교세포는 어떻게 연결될까?

✔️ 자폐 아동의 장내 미생물 특징

특정 유익균(Bifidobacteria, Prevotella 등) 감소 면역·염증 균형 깨짐
Clostridia, Desulfovibrio 증가 독성 대사물 생성 증가 가능
장 투과성 증가 ("Leaky Gut") 염증성 물질이 혈류로 침투
짧은사슬지방산(SCFA) 불균형 미세아교세포 기능 조절에 영향

🧪 6. 흥미로운 실험들

🧬 사례 1: 자폐 유사 생쥐 + 특정 균주 보충 (Cell, 2013)

  • 자폐 유전자 돌연변이 생쥐에게 Bacteroides fragilis를 투여
  • 장내 염증, 혈중 독소 감소
  • 자폐 행동(강박, 사회성 저하) 개선!

🧬 사례 2: SCFA가 미세아교세포 기능 조절 (Science, 2015)

  • Butyrate(뷰티레이트)는 미세아교세포의 항염증, 정상적 가지치기 촉진
  • Propionate 과다는 자폐 행동 유발 가능성 → 균형이 중요

🥬 7. 식이요법으로 조절 가능한가?

✅ 장-뇌 축 균형을 돕는 식이 전략

프리바이오틱스 식이섬유, 저항성 전분 → 유익균 성장 촉진
프로바이오틱스 Bifidobacterium, Lactobacillus 등 섭취
발효식품 김치, 요거트, 템페 등
폴리페놀 섭취 블루베리, 녹차, 올리브오일 → 항염작용
가공식품/첨가당 제한 염증 유발 억제

🔥 주의

  • 무조건 균 많이 먹기 ≠ 개선
    장내 환경에 맞춘 맞춤형 접근이 필요함

🎯 8. 통합 모델: 장내 미생물 → 미세아교세포 → 뇌 시냅스

[장내미생물 불균형] ↓ [장내 염증 + Leaky gut] ↓ [염증성 물질 혈류 침투] ↓ [미세아교세포 과활성화 또는 기능저하] ↓ [시냅스 가지치기 실패 또는 과도한 제거] ↓ [신경망 오류 → 자폐 행동]

🔍 9. 치료적 가능성: 미래는 장에서 시작된다?

접근법가능성
FMT (분변미생물이식) 자폐 아동 대상 소규모 연구에서 일부 행동 개선 보고
개인 맞춤형 프로바이오틱스 특정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맞춤 처방
항염증 식단 + 신경 보호 식품 커큐민, 오메가-3, 폴리페놀 등
장 점막 보호 전략 글루타민, 아연, 점막 회복 보조제 등

🧠 요약 정리

항목핵심 내용
장-뇌 축 장내 세균 ↔ 뇌 사이의 면역/신경/호르몬 연결
미세아교세포 뇌 면역세포, 시냅스 정리의 핵심
자폐증 관련 장내 세균 이상 → 염증 → 미세아교세포 기능 저하
식이요법 프로바이오틱스, 항염식단, SCFA 균형 유지 필요
치료 가능성 맞춤형 미생물 치료(FMT, 타겟균주 보충 등) 기대됨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