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폐증, AUTISM, ASD, 발달장애

자폐증상에 대한 뇌의 연결성

by 로슬리 2025. 3. 25.
728x90

 

자폐증 아이들을 보면 가끔 뭐에 홀린 것 같다. 주의집중이 어렵고, 대부분 의식이 다른곳에 팔려있는 모습을 자주본다. 왜 사람에게 관심이 없고 특정사물이나 문자, 숫자에 집착하는 것일까?

 

전체 vs 세부

통합 vs 분절

망각 vs 기억

 

자폐증 아이들은 전체적으로 통합하는 기능이 약하다. 세부적인 것에 집착하고, 반복 순환하려 한다. 그리고 기억력이 좋다. 잘 잊어버리지 않는다.. 이러한 현상들이 일어나는 이유는 자람이들 뇌의 '연결성'이 일반아이들과 다르기 때문이다.

자람이들의 뇌는

 

1. 시냅스 가지치기의 부족

2. 국소과잉연결

3. 장거리 연결의 부족

 

즉 신경시냅스의 로컬연결은 많으나 글로벌연결 감소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뇌의 특징은 생각할 때마다 더 많은 연결이 이루어지지만, 더 많은 회피로 이루어진다. 쉽게 이야기하면 하나의 생각이 다른 생각으로 갈라지기 쉬우며, 이는 혼란스러운 생각(딴생각, 집중력 약함)으로 이어지기 쉽다. (과잉연결)

일반인들은 어린시절을 금방 잊어버리기 쉬운데, 이것은 자연스러운 것이다. 망각이 있어야 새로운 연결로 수정,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자람이들은 망각이 잘되지 않아 무언가를 새로 배우기 매우 어렵다. (시냅스 가지치기의 부족)

뇌 영역에서 국소적 연결성과 지역적 일관성이 증가하는 것은 자폐증 뇌에서 관찰되는 장거리 연결성 감소에 대한 과잉 보상의 결과일 수 있다. 즉, 국소 수준의 활동은 증가하지만 뇌 기능의 전반적인 일관성은 감소한다. 이로 인해 자람이들은 세부 사항에 광범위하게 집중하게 되어 더 큰 그림을 보지 못하게 될 수 있다.

전체적 세부 사항보다 지역적 세부 사항을 우선시하는 인지 스타일을 갖고 있으며 세부 사항에 대한 과잉 체계화 , 과도한 관심 및 감각 과민증이 나타나게 된다. 이로 인해 사고가 흩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대화 및 사회 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부 자폐증 아이들은 "인지 소음"을 경험한다. 잠재의식 깊은 곳에서 생각의 끊임없는 흐름으로 반드시 의식에 등록될 필요없는 정보들을 제공한다. 지속적인 소음은 불안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집중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이것은 또한 혼란스러운 생각에 기여할 수 있다. 반면에 이것은 창의성의 원천이 되기도 한다.

쿠사마 야요이의 소멸의 방

또한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사고 패턴을 경험하는 경향이 있으며 오래된 생각이 마음에 다시 들어가서 다시 한 번 반복될 수 있는데, 이것이 바로 "순환적 사고" 라고 부르는 것이다. 이러한 모든 생각은 집중력을 약화시키고 사고 과정을 탈선시키는 경향이 있다. 현재 상황에 일어나는 일과 별로 관련이 없는 생각이 지속될 수 있기 때문이다.

 

자폐증 아이들이 왜 "지나치게 꽉 찬 머리와 흩어진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왜 산만하고, 쉽게 감독을 잃으며, 과도한 자극과 조절 장애에 더 취약한지.. 이러한 모든 요인은 뇌의 비정상적인 연결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서번트 증후군은 엄청난 기억력을 가진 천재로 비유되기도 하지만 자폐증이 치유될수록 이러한 비전형적인 신경연결로 인한 기억력(천재성)은 점차 사라지게 된다. 결국 자폐증에서 극복한다는 것은 뇌(연결성)가 바뀌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출처

https://embrace-autism.com/autism-and-disorganized-thoughts/

 

Autism & disorganized thoughts | Embrace Autism

This article is in response to the question: “Why do autistic people tend to have disorganized thoughts?”

embrace-autism.com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