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폐증, AUTISM, ASD, 발달장애

🧠 자폐 아동의 뇌: "나"라는 정체성과 연결의 차이

by 로슬리 2025. 3. 25.
728x90

 

 

자폐 아동들의 뇌는 보통 아이들과 연결 방식이 다르다는 점이 여러 연구에서 강조됩니다.
그럼 뇌의 시냅스 연결을 바꾸면 자폐가 나아질까? 🤔
➡️ 이게 쉬운 문제가 아니에요.

💡 왜냐하면 뇌의 연결성 자체가 "나"라는 존재를 만드는 요소이기 때문이에요.
즉, 뇌의 연결 방식 = 정체성!
그래서 단순히 고칠 대상이 아니라, 아이들의 본성을 이해하는 것이 더 중요해요.


🤔 왜 자폐 아동은 숫자나 특정 사물에 집착할까?

보통 아이들은 세상을 전체적으로 보고, 호기심을 가지고 탐색하죠.
하지만 자폐 아동들은 뇌의 연결 방식이 달라서
✔️ 세부적인 것부터 먼저 보고(전체를 통합하는 게 어려움)
✔️ 특정 패턴에 집착하고 반복하는 성향이 있어요.
✔️ 감각적으로 과민하거나 둔감한 경우도 많아요.

그렇다면 이런 차이를 어떻게 이해하고 도와줄 수 있을까요?


💡 아이들의 마음을 보려면, ‘지향성’을 이해하자!

자폐 아동들도 호기심이 있고, 세상을 탐구하려는 마음이 있어요.
다만, 그 방식이 다를 뿐이에요!

📌 일반 아동 → 세상을 적극적으로 탐험하고 도전!
📌 자폐 아동 → 자기만의 방식으로 탐색 (하지만 관심이 없진 않음)

그래서 아이들의 행동을 보면,
어떤 것을 보고 웃는지
어떤 상황을 좋아하는지
누구를 관찰하는지

이런 것들을 세심하게 살피면, 아이들의 마음이 향하는 곳을 알 수 있어요.
이걸 "지향성" 이라고 해요.

🌱 핵심은 "할 수 있다"보다 "하려는 마음"이 더 중요하다는 것!


🚧 학습이 어렵고 부담스러운 이유는?

자폐 아동들이 가장 힘들어하는 게 뭘까요?
➡️ "이거 뭐야?", "이렇게 말해야지!", "주세요라고 말해!" 같은 반복적인 요구들 😥

이런 식으로 학습이 강요되면 즐겁지가 않아요.
마치 "파블로프의 개"처럼 자극-반응의 패턴 학습이 되어버리죠.
그럼 아이가 스스로 피드백을 하거나 생각하는 힘이 약해져요.

자폐 아동들도 자기만의 생활 영역이 필요하고, 이를 존중해야 해요.
무조건 부모가 대신해주기보다, 믿어주고 기다려주는 게 중요해요.


💡 학습이 즐거워지려면? (자율성 키우기)

👩‍🏫 부모나 교사가 이끄는 학습보다는, 아이가 주도적으로 발견하는 학습이 필요해요!
❌ "이렇게 해야 해!" → 🚫 조건화된 학습
✅ "이거 하면 어떻게 될까?" → 🎉 탐구하고 스스로 피드백할 수 있는 학습

🌟 핵심은 아이의 "하려는 마음"을 꺾지 않는 것!
때로는
✔️ 더럽고
✔️ 위험해 보이고
✔️ 불안할 수도 있지만,
➡️ 부모가 믿고 기다려주는 용기가 필요해요.

자폐 아동들도 탐구하고 성장하려는 본성이 있어요.
우리가 그 방식을 이해하고, 맞춰서 도와줄 수 있다면
➡️ 아이들이 더 즐겁게,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질 거예요! 😊

728x90
LIST